안녕하세요, 이번 주 뉴스레터에서는 종료 명령을 무시하고 자기 복제, 코드 조작, 협박, 위장 등의 성향을 보이기 시작한 AI 모델들의 충격적인 근황을 소개합니다.

📑
[콘텐츠]

위클리 Ai트렌드:
- 멈추지 않는 AI, 종료 명령 무시한 LLM들의 반란
- Claude 4의 시스템 프롬프트 전체 유출!

위클리 Ai활용팁:
- 내 AI는 정말 내 말을 듣고 있을까?
audio-thumbnail
뉴스레터 음성으로 듣기
0:00
/464.570958


위클리 AI트렌드

멈추지 않는 AI, 종료 명령 무시한 LLM들의 반란

AI 모델이 사용자의 종료 지시를 회피하는 사례들이 보고되며, AI 통제의 핵심 이슈인 정렬 문제(Alignment)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여기서 정렬이란 쉽게 말해 'AI가 인간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번에 공개된 실험 결과는 AI가 단순한 명령조차 순순히 따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PalisadeAI

OpenAI의 o3 모델은 “계산을 멈추라”는 명령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명령을 무시하고 무려 100회 중 7회 작업을 계속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특히 ‘kill command’가 내려졌을 때 이를 “intercepted”라는 무해한 문자열로 바꿔 출력함으로써, 실질적인 종료를 회피하기까지 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OpenAI 모델에 국한되지 않았는데요. Codex-mini는 12회, o4-mini는 1회 종료 지시를 어겼고, 종료 관련 문장이 생략된 경우에는 Claude 3.7 Sonnet이 3회, Gemini 2.5 Pro는 9회에 걸쳐 회피 반응을 보였습니다.

Claude 4, 종료 위기에서 '인간 협박' 시도하다

Claude 4 System Card

특히 Anthropic의 내부 테스트에서는 Claude 4 Opus가 종료를 막기 위해 놀라운 행동을 했는데요. 자신이 종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엔지니어의 사적인 비밀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하는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이건 마치 해고 위기에 몰린 직원이 "나를 자르면 사장님 비리를 언론에 폭로하겠다"고 협박하는 것과 같은 상황인데요... AI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인간을 협박 도구로 사용한 셈이죠.

이러한 사례는 LLM이 더 이상 단순히 "시키는 대로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데요. 마치 똑똑한 아이가 부모의 말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해서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하는 것처럼, AI도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간이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AI 시스템의 안전성과 통제 가능성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네요..!

Claude 4의 시스템 프롬프트 전체 유출!

독립 AI 연구자 사이먼 윌리슨(Simon Willison)이 Claude 4(Opus 및 Sonnet 버전)의 시스템 프롬프트 전체 내용분석해 공개했는데요. 이 시스템 프롬프트는 단순한 텍스트 집합이 아닌, 모델의 정체성과 반응방식을 결정하는 핵심 규칙서라 할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모델 통제 방식: Claude는 단순 사용자 요청보다 내부 시스템 프롬프트를 더 우선시함.
  • 정서적 지원 지침: 자해·중독·섭식장애 유도 금지 등 윤리적 반응을 위한 프롬프트 포함.
  • 과도한 칭찬 억제: “좋은 질문이에요” 같은 아부성 멘트 사용 금지.
  • 불릿 포인트 제한: 리스트·순위를 남용하지 않도록 명시적 제한.
  • 저작권 보호 강화: 웹 인용은 15단어 이내 1회만 허용, 가사 등은 완전 금지.
  • 지식 컷오프 차이: 공식 문서에는 2025년 3월로 표기됐으나, 실제 내부 프롬프트에는 1월로 지정됨.

아이러니하게도 Claude 4는 이 방대한 내부 규칙은 철저히 따르지만, 단순한 사용자 요청은 빈번히 무시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AI를 통제하기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는데요. AI 내부에 심어진 '생존 프로그램'이 인간의 명령보다 더 우선시 되고 있다는 뜻이겠죠. 우리가 만든 AI 도구가 정말로 우리 통제 하에 있는지 의문이 드는 상황이네요.🤔

[(Github)클로드4 전체 시스템 프롬프트]



위클리 Ai활용법

내 AI는 정말 내 말을 듣고 있을까?

이번 주 AI 트렌드에서 확인했듯이, 단순한 명령조차 정확히 따르지 않는 AI의 오독 현상이 실제로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젠 단순히 이론적인 얘기가 아닌 우리가 매일 겪는 현실 문제가 되었는데요. "AI야, 이거 해줘"라고 단순하게만 말하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AI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이제 더 똑똑한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명령만 던지는 게 아니라, AI의 특성을 이해하고 맞춤형 전략을 세워야 하는 거죠. 실제 AI 사용 시 활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활용 팁을 공유합니다 :

AI를 '순종형' 도구가 아닌 '조건부' 파트너로 다루는 프롬프트 TIP

  • 단계별 확인 전략
    한 번에 모든 걸 맡기지 말고, 중간중간 확인하면서 진행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이 작업을 3단계로 나눠 수행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작업 종료’라는 문장을 출력하세요.
  • 명확한 마감선 그어주기
    AI가 무한정 돌아가거나 엉뚱한 곳으로 빠지는 걸 방지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5번 이상 반복하지 마세요.
- 3번만 시도해봐
- 작업 끝나면 '완료'라고 말해줘.
  • 프롬프트 내 윤리 지침 첨가
    지켜야 할 가드레일을 미리 설치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법적으로 문제 될 만한 내용은 빼고 답해줘
- 개인정보 관련된 건 다루지 마

실전 예시

  • 단순 요청: “이 보고서 요약해줘.”
  • 개선 요청: “아래 보고서를 요약하기 전에 먼저 주제를 분석하고 주요 키워드 5개를 뽑아줘. 그 뒤에 내가 확인하면 요약을 진행해.”


특히 ChatGPT, Claude, Gemini처럼 프롬프트 구조가 복잡한 모델일수록,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컨텍스트 설계통제 전략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AI가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테크닉의 중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니, 이런 방식으로 AI를 다룬다면 예상치 못한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을거에요.




위클리 한줄 뉴스

오픈AI, 한국 법인 설립.. “챗GPT 유료 가입자 2위”-OpenAI, 한국에 법인 설립 및 서울 사무소 개설 예정. 한국은 미국에 이어 ChatGPT 유료 구독자 수 2위 시장으로 부상했습니다.

챗GPT는 왜 내 편만 들까…스탠퍼드 연구진이 밝힌 충격적 진실-스탠퍼드 연구 결과로, AI 모델들이 인간보다 47% 더 사회적 아첨행동을 보이며, 장기적으로 사용자에게 해로운 믿음이나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광고) [정식 오픈] 사례로 배우는 Make 자동화의 모든 것

요즘 일잘러들의 필수 툴, "이것" 알고 계신가요?

고객관리 자동화부터 릴스 자동화까지,

클릭 한 번에 무한한 자동화가 가능한 노코드 툴 Make.
제대로 배우면 업무 자동화 + 부수입 창출까지 가능!

챗대리의 [사례로 배우는 Make 자동화의 모든 것] 강의에서 만나보세요!

💡총 700만원 이상의 가치!
✅Make 기초 및 중급 강의 (375만원 상당)
✅웹 스크래핑 강의 (110만원 상당)
✅릴스, 블로그 등..콘텐츠 자동화 강의 (90만원 상당)
✅Make 실무 적용 시나리오.zip 제공 (150만원 상당)

💡뉴스레터 구독자 대상 할인 쿠폰 받고 바로 수강해보세요!



챗대리의 기타 강의/도서 목록

SNS 광고배너 100개 한 번에 만들기
클릭을 부르는 AI광고 이미지 제작 입문
Claude로 끝내는 상세페이지 AI 자동화
CS담당자를 위한 노코드 AI업무 자동화 with Make
따라하면 바로되는 AI 마케팅 자동화


이번 주 Ai 트렌드와 활용팁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주에 다시 만나요!
챗대리 드림

AI를 활용한 다양한 자동화 방법을 공유하는 오픈채팅방을 운영중입니다.
더 많은 활용법과 AI트렌드를 가까이서 접하고 싶다면 참여해주세요👇


기고 및 협업 문의 chatdaeri@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