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챗대리입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챗GPT 에이전트 출시 소식 및 AI 시대에 맞는 검색 노출 전략을 담아봤습니다.
위클리 Ai트렌드:
- "챗GPT가 아니었다"…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AI 챗봇의 정체
- OpenAI, 모든 걸 알아서 해주는 '챗GPT 에이전트' 출시
위클리 Ai활용법:
- 챗GPT 검색에 내 콘텐츠가 추천되게 하는 법은?
챗대리의 AI뉴스레터가 다음주 뉴스레터부터 도메인이 변경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뉴스레터가 '스팸⛔'으로 분류될 수 있어요. 😨
혹시 '뉴스레터가 올때가 됐는데, 왜 안올까?' 싶으면 '스팸함'과 '프로모션'탭을 꼭 확인해주세요!
"챗GPT가 아니었다"…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AI 챗봇의 정체
얼마전 와이즈앱리테일이 발표한 2025년 6월 AI 챗봇 앱 사용 현황에서 놀라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챗GPT가 월간 활성 사용자 수에서는 압도적 1위를 기록했지만, 실제 사용시간에서는 AI 캐릭터 채팅 앱인 '제타'가 1위를 차지한 것입니다.
AI 앱 주요 사용 현황 분석 :
-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챗GPT 1,844만 명 vs 제타 304만 명 (약 6배 차이)
- 월간 사용시간: 제타 5,248만 시간 vs 챗GPT 4,254만 시간
- 상위 10개 앱: 챗GPT, 제타, 뤼튼, 퍼플렉시티, 에이닷, 다글로, 채티, 클로드, 그록 AI, 크랙

흥미로운 점은 AI 캐릭터 채팅 앱들(제타, 크랙, 채티, 다글로)이 상위권에 다수 포진했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사용자 수는 적지만 사용시간에서는 훨씬 높은 몰입도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사용자들이 정보 검색이나 업무 지원을 위해서 챗GPT를 많이 이용하기는 하지만, 엔터테인먼트와 소통 목적의 캐릭터 기반 AI 서비스에 더 몰입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인 것 같네요. 🤔
OpenAI, 모든 걸 알아서 해주는 '챗GPT 에이전트' 출시
Introduction to Chatgpt Agent (출처 : Openai)
OpenAI가 드디어 '챗GPT 에이전트'를 공식 출시했습니다.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웹서치, 가상 터미널 실행 등 다양한 작업을 인간 대신 해주는 AI 조수로 만들어졌습니다. Manus, Genspark등에서 출시한 AI에이전트와 유사한 기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OpenAI 유튜브에 공개된 실제 활용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챗GPT 에이전트 활용사례 1 - 결혼식 준비 도우미
"친구 결혼식에 맞는 드레스코드 의상 찾고, 선물도 찾고, 호텔도 예약해줘"라고 요청하면, 청첩장 웹사이트를 분석해 드레스코드를 파악하고, 적합한 의상과 선물을 검색한 후 호텔까지 찾아줍니다.

챗GPT 에이전트 활용사례 2- 맞춤 스티커 주문
강아지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이걸로 귀여운 강아지 스티커 디자인 만들어서, 500명 팀원을 위한 스티커 제작 주문해줘"라고 하면, 이미지를 분석해 스티커 디자인을 만들고 주문 사이트까지 접속해 결제 직전까지 진행해줍니다.
이 외에도, 구글 드라이브 및 구글 캘린더 연동, 가상 터미널 실행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 챗GPT기반으로 작업 자동화를 원하시는 분들은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용 요금제:
- Pro 사용자: 월 400회 쿼리
- Plus/Teams 사용자: 월 40회 쿼리
챗GPT 검색에 내 콘텐츠가 추천되게 하는 법은?

국내 사용자만 1,700만 명이 넘는 ChatGPT의 등장으로, 정보를 찾는 방식이 네이버나 구글 같은 전통적인 검색엔진에서 AI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AI 검색을 주로 정보 검색용으로 활용하고, 쇼핑할 때는 여전히 네이버 등을 이용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퍼플렉시티와 ChatGPT가 쇼핑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어 앞으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이런 변화가 본격화되기 전에 AI가 내 브랜드와 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추천하도록 만든다면, 미래 매출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되겠죠. 그렇다면 챗GPT 같은 AI 답변에 내 사이트가 노출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핵심은 'AI가 정보를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AI는 복잡한 글보다 질문에 대한 답이 명확하고 소화하기 쉬운 형태의 정보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AI 특성을 이용한 아래 SEO 팁들을 참고해보세요!
1.'AI 친화적'으로 콘텐츠를 재구성하기🤖📝✨
예상하셨겠지만, AI는 자연스러운 언어와 질문 중심 콘텐츠에 끌립니다. ChatGPT, Claude, Grok 등의 AI 모델은 대화형 텍스트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 전문가가 무언가를 설명하듯이 구성된 콘텐츠를 선호하거든요.
실제로 2024년 한 연구에 따르면, 명확하게 구성된 섹션과 FAQ가 포함된 신뢰도 높은 콘텐츠는 Perplexity와 같은 플랫폼에서 AI 답변에 포함될 확률을 최대 37%까지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때문에, 새로운 콘텐츠를 많이 만드는 것보다 기존 콘텐츠를 재가공하는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명확한 구조를 사용해 콘텐츠를 최적화해보세요:
실행 팁 :
- 글머리 기호(•)와 번호 매기기(1, 2, 3) : 명확한 구조화로 인해 AI가 인용하기 좋습니다.
- FAQ (자주 묻는 질문): AI는 질문-답변 쌍을 매우 선호한다고 합니다.
- 명확한 소제목 & 섹션 구분 : 글의 각 단락에 내용을 정확히 요약하는 소제목을 붙여 AI가 전체 구조를 쉽게 파악하도록 돕습니다.
2.'아주 구체적인' 틈새 질문에 답하기🎯🔍🧠
AI는 콘텐츠의 전반적인 권위보다 사용자의 특정 질문에 얼마나 '딱 맞는'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최고의 마케팅 전략' 같은 넓은 주제보다 "10년 된 제조 회사의 정체기를 극복할 마케팅 전략은?"처럼 아주 구체적이고 긴 질문(롱테일 질문)에 답하는 콘텐츠를 만들어보세요. 신생 사이트라도 구체적인 질문에 대한 답만 있다면 얼마든지 AI의 답변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실행 팁 :
- 우리 제품/우리 웹사이트의 고객이 할 법한 가장 구체적인 고민이나 질문을 리스트업하고, 각 질문에 답하는 짧은 콘텐츠를 만들어봅니다. (수동적인 작업으로는 너무 오래걸릴 수 있으므로, AI기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고객 문의 게시판이나 커뮤니티의 실제 질문들을 참고하여 콘텐츠 아이디어를 얻어보세요.
3.'링크'보다 '언급'에 집중하기🔗🗣️📈
ChatGPT 에게 “가성비 좋은 스킨케어 브랜드”를 물으면 ‘디 오디너리’가 매우 자주 언급됩니다. ‘가성비 좋은 스킨케어 브랜드’, ‘디 오디너리’, ‘대표 제품’이라는 개념들이 대형 언어 모델의 내부에서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콘텐츠를 학습하면서 이 개념들이 서로 자주 함께 등장하는 패턴을 인식한 것이죠.
바로 이런 패턴 인식이 우리가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인데요. 우리가 원하는 브랜드가 더 자주 추천되기 위해서는, AI가 해당 개념과 브랜드를 밀접하게 연결짓도록 의도적인 정보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건 어떤 정보의 '신뢰성' 자체와는 상관없습니다. 예를 들어, '뉴욕타임즈'에 '가성비 브랜드'로 실리는 것보다 그냥 여러 웹사이트에 '가성비 브랜드'로 여러번 언급되는 게 AI추천에 오를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실행 팁 :
- 디지털 PR: 보도자료나 인터뷰 시, '우리 회사 이름(브랜드) 와 우리가 잘하는 것(핵심 개념)'이 반드시 함께 언급되도록 해보세요. (예: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 전문 기업, OOO')
4.내 사이트를 AI가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만들기🌐🤖🚪
아무리 좋은 콘텐츠가 있어도 AI 봇이 내 사이트의 정보를 제대로 읽어가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AI 검색 도구는 웹 인덱스에서 정보를 가져오거나 자체 크롤러를 사용하므로,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기술적 점검이 필요합니다.
- 로봇 차단 확인: 내 웹사이트의
robots.txt
파일에서 OpenAI의GPTBot
이나 구글의Google-Extended
봇을 막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 HTML에 주요 정보가 다 있는지 확인 : 핵심 정보가 JavaScript 뒤에 숨겨져 있거나 이미지/비디오에 숨겨져 있지는 않는지 점검해보세요. 주요 정보는 HTML 텍스트로 되어 있고, 이미지에는
alt text
, 비디오에는 스크립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AI가 크롤링하기에 유리합니다.
전통적인 SEO전략은 구글과 네이버 입맛에 맞게 콘텐츠를 준비하는 것이었다면, AI시대 SEO 전략은 AI가 정보를 '쉽게 먹고', '자주 보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만드는 것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AI의 특성을 이해하면 최소한의 노력으로도 AI 검색시대의 승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본 글은 아래 출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How To Rank in Google's AI Mode (with Examples)
How to Dominate AI Search Results in 2025
How to Rank #1 in ChatGPT Results (AI SEO Strategy)
How to rank #1 on ChatGPT, Claude, Gemini, Perplexity FAST
제미나이 AI가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따다 - Google DeepMind의 Gemini Deep Think가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딴 최초의 AI가 되었으며, 6개의 문제 중 5개를 풀었습니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내부 분쟁으로 지연- OpenAI와 소프트뱅크(오라클 등)가 1월에 시작한 5천억 달러 규모의 스타게이트 이니셔티브는 아직 단 하나의 데이터센터 계약도 체결하지 못했습니다.
넷플릭스, 생성형 AI로 제작한 첫 드라마 공개 - 넷플릭스가 SF시리즈 "영원한 항해자 에테르나우타'에서 AI를 사용해 건물 붕괴 장면을 제작해 기존 시각효과(VFX)보다 10배 빠르게 연출을 완성했습니다.

요즘 일잘러들의 필수 툴, "이것" 알고 계신가요?
고객관리 자동화부터 릴스 자동화까지,
클릭 한 번에 무한한 자동화가 가능한 노코드 툴 Make.
제대로 배우면 업무 자동화 + 부수입 창출까지 가능!
챗대리의 [사례로 배우는 Make 자동화의 모든 것] 강의에서 만나보세요!
💡총 700만원 이상의 가치!
✅Make 기초 및 중급 강의 (375만원 상당)
✅웹 스크래핑 강의 (110만원 상당)
✅릴스, 블로그 등..콘텐츠 자동화 강의 (90만원 상당)
✅Make 실무 적용 시나리오.zip 제공 (150만원 상당)
이번 주 Ai 트렌드와 활용팁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주에 다시 만나요!
챗대리 드림
AI를 활용한 다양한 자동화 방법을 공유하는 오픈채팅방을 운영중입니다.
더 많은 활용법과 AI트렌드를 가까이서 접하고 싶다면 참여해주세요👇
기고 및 협업 문의 chatdaeri@gmail.com
Member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