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프롬프팅 에센셜 과정 캡처

LLM의 성능이 엄청나게 업데이트 되면서 이전에 공식처럼 통용되던 프롬프팅 테크닉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낡은 공식' 4가지를 소개합니다.

1. 역할 부여 프롬프트는 이제 불필요합니다.

과거에는 AI 모델에 특정 역할(예: 10년차 개발자)을 부여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알려졌지만, 최신 모델들은 이미 방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 명확하게 실제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모델에게 관련 없는 역할을 부여하며 거짓말을 하기보다는, 정말로 원하는 작업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답니다.

2. 오탈자나 문법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프롬프트에 오탈자나 문법적 오류가 있어도 모델이 개념적으로 명확한 내용을 전달받는다면 사용자의 의도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물론 최종 결과물에서는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좋지만,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반복 작업 중에는 사소한 오류가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특히 인간의 피드백을 통해 강화 학습된 모델은 이러한 오류를 줄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정보를 단순화 할 필요가 없습니다.

과거에는 모델이 혼란을 겪을까 봐 복잡한 정보를 숨기거나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제는 모델을 신뢰하고 더 많은 정보와 맥락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심지어 관련 연구 논문을 통째로 제공하여 해당 기술을 학습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예시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4.완벽한 프롬프트 공식은 없습니다.

구글의 AI팀에서 제작한 프롬프팅 코스를 보면 , 복잡한 프롬프트 없이 굉장히 상식적인 내용만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 모델이 계속 발전하면서 '완벽한' 프롬프트 공식을 무조건 따르는 것은 AI의 창의적 잠재력을 제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명확한 의도를 전달하는 것입니다.따라서 특정 공식에 얽매이기보다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명확성에 집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고 및 협업 문의 chatdaeri@gmail.com